티스토리 뷰
목차
월급은 그대로인데 생활비는 자꾸 늘어나고 있나요?
이 글에서는 실생활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소비 습관 7가지를 소개합니다.
작지만 꾸준한 습관이 큰 차이를 만들어냅니다.
1. 소비 내역 기록하기
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지출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입니다.
가계부 앱(편한가계부, 뱅크샐러드 등)을 활용해 하루 1분만 기록해도 지출 패턴을 파악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.
2. 현금 대신 체크카드 사용
신용카드는 ‘후불’이라는 점에서 지출 통제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.
체크카드를 사용하면 내 계좌 잔고 내에서만 소비하게 되므로 과소비를 자연스럽게 줄일 수 있습니다.
게다가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도 큽니다.
3. 구독 서비스 정리하기
넷플릭스, 멜론, 유튜브 프리미엄… 한 달에 몇 개의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나요? 1~2개만 유지하고 나머지는 공유 결제 또는 해지하는 것이 좋습니다.
‘3개월 이상 안 쓴 구독 = 지출 누수’입니다.
4. 하루 1회만 배달앱 사용하기
배달앱은 편하지만, 잦은 사용은 지출 폭탄을 부릅니다.
배달앱 대신 마트 간편식이나 직접 요리를 활용하고,
‘배달비 3,000원 = 하루 커피값’이라는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.
5. 할인앱·캐시백 앱 활용하기
- 캐시워크: 걸음 수로 포인트 적립
- 시럽 월렛: 브랜드별 쿠폰 모음
- 페이코/토스: 이벤트 참여 시 캐시백 제공
이런 앱을 일상적으로 활용하면 적은 금액이라도 누적 절약이 가능합니다.
6. 중고거래 먼저 검색하기
가전, 가구, 전자제품 등 큰 지출이 예상될 땐 당근마켓, 번개장터 등에서 먼저 찾아보세요.
상태 좋은 물건을 절반 이하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7. 매달 ‘노지출 데이’ 정하기
한 달에 2~3일 정도는 카드 사용 없이 지내보세요. 식사, 교통, 여가까지 계획적으로 소비하며 지출 통제 감각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.
가족이나 친구와 함께하면 더 실천하기 쉬워요.
마무리
생활비 절약은 큰 희생이 아니라 소비 습관의 작은 조정에서 시작됩니다.
지금 당장 하나라도 실천해보세요. 한 달 후 통장 잔액이 달라져 있을 거예요.